티스토리 뷰

청년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내 집 마련입니다. 주택 가격이 계속 상승하고, 전세금도 부담스럽고, 청약 경쟁률도 높아서 주택을 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. 하지만 정부에서는 저소득 무주택 청년들을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. 그 중에서도 가장 인기 있는 것이 바로 청년우대형 청약통장입니다.

 

청년우대형 청약통장은 주택을 공급받기 위해 가입하는 저축상품으로, 기존의 주택청약종합저축과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.

주택청약종합저축 청년우대형 청약통장
금리 : 연 2.1% 금리 : 연 3.6% (우대금리 1.5% 포함)
비과세 한도 : 연간 이자소득의 40% (최대 200만원) 비과세 한도 : 연간 이자소득의 100% (최대 500만원)
소득공제 : 연간 납입액의 40% (최대 240만원) 소득공제 : 연간 납입액의 40% (최대 240만원)
가입 조건 : 무주택자 가입 조건 : 만 19세 이상 ~ 만 34세 이하, 연 소득 3천만원 이하, 무주택자

즉, 청년우대형 청약통장은 기존의 청약통장보다 금리가 높고, 비과세 혜택도 크고, 소득공제도 동일하게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. 하지만 가입 조건이 좀 더 까다롭기 때문에 모든 청년이 가입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. 만약 가입 조건에 부합한다면, 청년우대형 청약통장을 가입하는 것이 훨씬 유리합니다.

청년우대형 청약통장 가입 방법은?

청년우대형 청약통장을 가입하려면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.

  • 첫째, 주택도시기금 수탁은행 (우리, 국민, 신한, 농협, 기업, 하나, 대구, 부산, 경남은행) 중 하나를 방문하여 신청서를 작성합니다. 모바일로도 신청이 가능한 은행도 있습니다.
  • 둘째, 필수 구비서류인 소득확인증명서와 주민등록등본을 제출합니다. 만약 무주택 세대의 세대원인 경우에는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도 함께 제출해야 합니다.
  • 셋째, 원하는 납입금액과 납입기간을 선택하고 계약을 체결합니다. 납입금액은 월 최소 2만원에서 최대 50만원까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, 납입기간은 최대 10년까지 가능합니다.
  • 넷째, 매월 정해진 금액을 납입하면서 청약저축을 쌓아갑니다. 납입한 금액에 대해서는 연간 이자소득의 100% (최대 500만원)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  • 다섯째, 주택분양공고가 나오면 원하는 주택에 청약을 신청합니다. 청약저축을 쌓아갑니다. 청약저축을 한 금액에 따라서 청약가점이 부여되며, 이 점수가 높을수록 당첨 확률이 높아집니다. 청년우대형 청약통장의 경우, 일반 청약통장보다 2배의 가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  • 여섯째, 당첨되면 계약금과 잔금을 납부하고 주택을 입주합니다. 만약 당첨되지 않으면 다른 주택에 다시 청약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청년우대형 청약통장의 주의사항은?

청년우대형 청약통장은 매력적인 상품이지만, 다음과 같은 주의사항을 꼭 알고 있어야 합니다.

  • 첫째, 가입 조건에 해당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 만 19세 이상 ~ 만 34세 이하, 연 소득 3천만원 이하, 무주택자인지 검증해야 합니다. 만약 가입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면 가입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.
  • 둘째, 납입한 금액은 중도 해지할 수 없습니다. 만약 중도 해지하면 납입한 금액의 10%를 공제받고 나머지 금액만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장기적으로 납입할 수 있는 금액과 기간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.
  • 셋째, 주택 분양공고를 꼼꼼하게 확인해야 합니다. 청년우대형 청약통장으로 신청할 수 있는 주택은 일부 지역과 규모에 한정되어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서울시에서는 85㎡ 이하의 주택만 신청할 수 있으며, 경기도에서는 60㎡ 이하의 주택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.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청년우대형 청약통장으로 신청할 수 있는 공급물량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경쟁률이 높을 수 있습니다.

이상으로 청년우대형 청약통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청년우대형 청약통장은 저소득 무주택 청년들에게 유리한 상품이므로, 만약 가입 조건에 부합한다면 적극적으로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.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루기 위해 청년우대형 청약통장을 가입하고, 청약저축을 쌓아가세요!

 

반응형